안구건조증을 바르게 알고 치료하기

반응형
반응형

안구건조증이란?

 

 

 

1. 정의

 

 

 안구건조증은 간단히 말하면 눈물이 나와 눈을 보호해주어야 하는데 눈물이 나오지 않아 눈이 건조해지는것입니다.

 

 



2. 원인


 

 

질병으로 인한 안구건조증이올수도 있으나 대부분이 요즘 사람들은 환경적인 요인인 대기오염에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난방이 잘 된 빌딩이나 밀폐된 사무실로 인해 습도 저하나 환기 부족으로 항상 건조한 환경 속에 살고 있습니다.

 

이런 서구화된 생활환경이 안구건조증에 걸릴 위험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컴퓨터 등 모니터 사용의 일상으로 눈은 쉬지 않고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읽고 봐야 합니다.

 

이러한 현대인의 생활 패턴 또한 안구건조증의 유발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질병적인 원인은 아래 몇가지 내용에 관한 것입니다.

 

(1) 노화
40세 이상의 연령. 가장 흔한 원인으로 정상적인 노화 현상에 의해 눈물의 분비량의 감소나 눈물의 상태가 변하게 됩니다.



(2) 동반질환
류마치스성관절염, 쇼그렌 증후군(입과 눈 등 몸 전체의 점막들의 염증이나 건조가 발생하는 류마치스 질환), 루프스, 공피증, 당뇨병, 비타민A 결핍증 등의 질병이 있으면 눈물 생산이 줄어듭니다.



(3) 방사선이나 염증으로 인한 눈물샘 손상



(4) 각막의 예민성 감소
각막의 지각이 마비되는 신경영양 각막염(neurotrophic keratitis)이나 장기간 콘택트 렌즈를 사용해서 눈 표면의 감각이 무디어지면 눈물의 생산이 감소합니다.



(5) 과도한 눈물의 증발
안검에 있는 지방 분비선이 병균에 의해 염증이 생기거나 막히면 지방질 분비가 적어지고, 지방이 적어지면 수분성분의 눈물이 쉽게 증발해 버립니다.


 

(6) 라식수술



(7) 눈꺼풀 속말림, 눈꺼풀겉말림, 눈꺼풀염 같은 눈꺼풀 문제



(8) 만성결막염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세포들이 만성적인 염증으로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져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기 때문에 수성 눈물층이 곧 눈물관을 타고 코로 흘러나가버리게 됩니다.



(9) 갑상선 질환
갑상선 항진증에서 눈이 커져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되거나 갑상선 기능저하로 눈물생성이 감소 될 수 있습니다.



(10) 여성호프몬 감소
갱년기에 의한 여성호르몬이 감소되면 눈물생성이 줄어듭니다.



(11) 약물복용
눈물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에 의해 눈물이 마를 수 있습니다. 즉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스코포라민 같은 부교감 경차단제, 고혈압 치료를 위한 베타차단제, 수면제, 피임약, 일부 여드름 치료제, 일부 항우울제, 일부 마취제 등이 있습니다.

 

 

3. 증상

 

1) 눈에 모래가 들어간 것 같다. 

2) 눈이 뻑뻑하다

3) 끈적거리는 눈곱이 나온다.

4) 자주 충혈된다.

5) 바람이나 햇볕에 유난히 예민하다

6) 소프트렌즈를 끼면 불편하다

 

 위와 같은 증상들이 있다면 안구건조증이라고 생각 해볼 필요가 있으며 가까운 안과를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진단

 

 

진단은 필수적인 검사로 환장의 중상, 눈물의 안정성, 안구표면 염색 및 눈물분비 검사등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가까운 내과를 방문하시는게 더 빠를 듯 합니다.

 

 

4. 치료

안구건조증의 기본 치료는 인공 누액 및 연고를 사용하여 부족한 눈물을 보충시켜 주고 눈꺼풀 및 안구표면의 염증을 완화시켜 주는 것입니다.

 

또한 생황환경과 습관을 개선하여 답답한 사무실이나 아파트에서 하루 8시간 이상으로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보지 않는것이 좋으며

 

실내에 가습기를 틀어 환경을 습하게 하는것과 장시간 독서나 컴퓨터 등을 하지 말고 1시간에 40~50분 정도 10~20분 정도의 휴식시간을

 

갖는것이 좋습니다.



다음으로 약물 치료를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가 흔희 말하는 인공눈물을 수시로 점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방부제가 첨가 되지 않는 1회용 점안인공누액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될수 있으면 안과를 방문하여 의사 처방을 받고 인공눈물을 사시길 추천드립니다.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